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꿀팁

생후 1~2개월 아기 돌보는 방법 팁 공유

반응형

안녕하세요. 출산 후 아이를 보느라 오랜만에 블로그를 쓰러 왔어요. 복땡이는 여름에 태어나서 태어난 지 2개월 정도 되었습니다. 지금은 집에서 육아를 하고 있는 중 인대요. 날씨도 선선하고 다시 블로그를 통해서 정보 공유해 드리고자 왔습니다^^

 


생후 1~2개월 아기 돌보기

 

[ 발  달 ]

1. 하루가 다르게 성장

생후 2개월이 되면 태어난 때에 비해서 채중은 1Kg 이상 늘게 되며 키도 평균 3~4Cm 자라게 됩니다. 보통 순조롭게 자라는 아이라면 하루 평균 체중이 30g 이상 증가하게 됩니다. 하지만 앞에 내용은 평균 수치이며, 아이의 성장에는 개인차가 있으므로 건강 상태를 체크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2. 시각이 발달하여 모빌을 볼 수 있게 된다.

어둡고 밝은 것만 겨우 구별하던 아이가 이제는 희미하게 사물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시력이 발달하게 됩니다. 움직이는 것을 쫓아 눈동자를 따라가는 것은 그만큼 시력이 발달했다는 증거입니다. 따라서 이때부터 모빌을 달아주면 좋고 아직 색을 구별하지 못하고 사물의 윤곽도 뚜렷하게 볼 수 없으므로 흑백 모빌이 적당 합니다. 아이의 시력은 15Cm 앞에 있는 사물을 볼 수 있을 정도이기 때문에 모빌은 아이 눈 가까이에 달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3. 옹알이를 시작한다

아이는 불편하거나 배가 고프면 바로 울음을 터뜨리는데, 생후 1개월이 넘으면 젖을 먹고 나서 만족해 웃는 듯한 표정을 짓기도 하고, 가끔은 '아' , '우' 등의 옹알이를 하기도 합니다.

 

4.배내웃음을 짓는다

생후 2개월 무렵까지 아이가 빙그레 웃는 미소를 배내웃음이라고 합니다. 기분이 좋아 보이거나 어마를 향해 웃는 것 같지만, 이 시기의 웃음은 정서적이거나 사회적인 웃음이 아니라, 얼굴 근육이 저절로 움직이는 생리적 웃음입니다.

그러나 배내웃음은 마치 엄마에게 "나를 사랑해주세요"라는 메시지를 보내며, 초기 애착 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5. 잠깐 동안 머리를 들기도 한다

아직 목을 가누지 못하지만 점점 목에 힘이 생겨 엎드려놓으면 20초 정도 머리를 들기도 합니다. 약 50%의 아이는 일시적으로 45도까지 목을 들어 올립니다.

 

.

 

[ 돌 보 기 ]

1. 기저귀 발진과 땀띠를 예방한다

아이가 땀구멍이 발달하여 더위를 느끼면 땀을 흘리기 시작합니다. 이때부터 땀띠 나 기저귀 발진, 습진 등의 피부염이 생기기 시작하므로 평상시 옷을 얇게 입히고 서늘하면 한 겹 더 입혀서 관리하면 좋습니다. 소변을 본 후에는 부드러운 가제 손수건을 미지근한 물에 적셔 성기와 엉덩이를 닦아 줍니다. 그리고 새 기저귀를 채워주기 전에 잠시 벗겨놓아 바람을 통하게 하며 물기를 말려 줍니다. 이때 접히는 부분은 보송보송하게 유지시켜 줍니다.

 

2. 가끔 바깥공기를 쐬어준다

신선한 바깥공기는 피부와 호흡기를 자극하여 저항력을 길러주므로 규칙적으로 쐬어주면 좋습니다. 처음에는 아이가 있는 방문을 연 뒤 거실 창문을 열어 간접 환기를 시키다가 익숙해지면 베란다나 현관에서 5분씩 바깥공기를 쐽니다. 생후 2개월 무렵에는 하루 20분 정도 집 앞에 나가는 것도 괜찮습니다. 햇볕이 자극적이지 않을 때 나가는 것이 좋으며 너무 덥거나 추운 날은 피하고 미세먼지나 황사가 많은 날도 피하면 좋습니다.

 

3. 베이비 마사지해준다

베이비 마사지는 혈액순환을 촉진해 아이 몸속에 있는 노폐물이 잘 배설되게 하고 소화 기능과 장 기능을 강화해 저항력과 면역력을 길러 줍니다. 또 긴장감을 풀어 근육 발달을 돕고 정서 안정과 집중력 향상에도 도움이 됩니다. 목욕 후 보습제를 발라주면서 부드럽게 마사지를 해줍니다.

 

[ 건 강 ]

1. 생후 1개월 검진을 받는다

정기검진은 아이의 전반적 발육 상태나 선천성 이상 등을 알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한 달 동안 아이를 키우면서 궁금하던 점을 정리하여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첫 정기검진은 출산한 병원의 소아청소년과에서 받는 것이 보통이며 저도 그렇게 하였지만 만약 해당 병원에 연계된 소아청소년과가 없을 경우 집에서 가까운 병원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후에는 예방접종일을 아이의 건강검진일로 삼으면 됩니다. 

B형 간염 예방접종은 태어나자마자 하는데, 한 달 후 2차 접종을 하므로 이때를 검진일로 삼고 참고하시면 됩니다.

 

2. 머리가 한쪽으로 향하면 사경을 의심한다

아이는 머리뼈가 굳지 않아 머리를 한쪽으로만 뉘어놓으면 머리 모양이 찌그러질 수 있으며로 생후 1~2개월 동안은 머리 방향을 가끔씩 바꿔줍니다. 이때 머리 방향을 바꿔놓아도 다시 방향을 돌려 계속 한쪽으로만 보려 한다면 사경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사경이란 목의 일부 근육이 짧아서 머리가 한쪽으로만 기우는 현상으로, 즉시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가벼운 증상은 물리치료로 고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육아맘 파이팅하시고 다음에도 좋은 정보로 찾아올게요^^

 

임신 출산 육아 대백과를 참고하였습니다

 

반응형